전입신고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할 때에 신고의무자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하는 날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 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관할기관에 신고하는 것을 전입신고라고 한다.
이사를 했다면 전입신고는 누구나 경험을 할것이고 이러한 사소한 부분을 놓쳐 과태료나 부당한 일이 일어나지 않게 잘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신청하는 방법.
정부24 사이트에 접속하여 화면 스크롤의 중간에 원스톱 서비스(서비스메뉴에도 있음)에 전입신고+를 눌러 다음 페이지에서 신청한다.
전기요금, 텔레비전 수신료, 도시가스요금 감면신청과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 방법.
[전입신고]전세사기 예방, 전기요금, 텔레비전 수신료, 도시가스요금 감면신청과 우편물 주소 이
전입신고란 무엇인가? 전입신고는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새로운 거주지로 이동한 경우에 그 전입한 거주지의 시 군 구에 전입사실을 알려서 주민등록 내용을 정정하
b.studykairos.com
전입신고+ , 요금감면과 우편주소지 변경 신청하는 방법.
옛날에는 일일이 한국전력이나 지방도시가스 쪽에 전화하여 변경되었음을 알렸는데 정부 24에서 한 번에 일괄 일처리가 되니 많이 편해진 거 같습니다.
전입신고+ 신청 작성중 요금감면 관련 신청과 우편주소지 변경 신청을 추가 체크하는 방법이 생기며 행정업무를 편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온라인으로 인터넷 전입신고가 완료되었으면 정부 24 > my gov > 나의 신청내역을 확인하여 제대로 기입되었는지 확인합시다.
제대로 기입이 안되 과태료를 물리게 되면 부당한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잘 확인하여 전입신고 신청 내역을 꼼꼼히 확인합시다.
온라인 전입 신고가 안되는 경우
신청인이 미성년자인경우, 기존세대가 살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 미성년자가 포함된 전입신고의 경우 전출지 세대주가 인증서를 통해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되면 주민센터로 직접 방문하여 진행해야 전입신고가 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온라인 전입신고는 업무시간 09:00 ~ 18:00에 받은 민원에 한해 3시간내에 처리가 됩니다. 근무 외 18:00을 넘긴 경우나 공휴일에 신청한 민원은 평일 근무 시작시간 09:00으로부터 3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신청시간이 15:00을 넘긴 경우, 익일에 처리 될수 있습니다. 참고하여 전입신고하는데 혼란이 오지 않도록 깔끔하게 업무처리를 하도록 합시다.
직접 주민센터에 가서 전입신고할경우 온라인 확인까지 자료 동기화 시간으로 최대 10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길지 않은 시간이나 잠시만 기다려주면 정부 24에서 처리완료 전입신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 전입과 전출 구분은 어떻게 해야될까?
전입구분
- 세대구성
· 단독 또는 세대주와 세대원 일부(전부포함)가 새롭게 전입하는 곳에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
- 세대편입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곳에 세대원으로 주소를 옮기는 경우
- 세대합가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곳에 주소를 전입신고 하면서 세대를 합치는 경우
(※ 별도의 세대주변경 신고로 세대주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
전출구분
- 세대전부 전출
·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 전부가 이사를 가는 경우
-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일부 전출
·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원 일부가 이사를 가는 경우
※ 남은 세대원 중 1명을 세대주로 선정하여 세대를 구성해야 함
-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 세대주는 그대로 있고 세대원 일부만 이사를 가는 경우
○ 전출·입 선택기준
- 세대구성, 세대전부 전출
· 우리 식구가 모두 함께 이사를 갑니다.
- 세대구성,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아버지(세대주)와 함께 새로운 곳으로 이사 갑니다. 어머니(남은 세대주)와 누나는 직장 때문에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구성,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 누나와 저는 (둘 다 세대원 ) 직장 때문에 부모님과 떨어져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 세대편입, 세대전부 전출
· 우리 식구 모두 함께 고모님 집으로 세대원으로 이사를 갑니다.
- 세대편입,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아버지(세대주)와 함께 고모님 집으로 이사를 가고 어머니는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편입,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 어머니(세대원)와 함께 고모님 집으로 이사를 가고 아버지(세대주)는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합가, 세대전부 전출
· 결혼하여 부모님과 따로 살다가 우리 가족 전부가 부모님 집에 들어갑니다. 이때 세대주변경도 함께 하려고 합니다.
- 세대합가,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결혼하여 부모님과 따로 살다가 세대주를 포함한 우리가족 일부가 부모님 집에 들어갑니다. 이때 세대주변경도 함께 하려고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 확인 방법은?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전입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세대주가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 - 신청/확인/공유 - 사실/진위확인 - 세대주 확인을 선택합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번호를 넣은 후 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을 완료하시면 확인 가능한 세대주 정보가 제공됩니다.
신청된 전입신고를 확인하시고 상세내역 하단의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세대주 확인이 완료됩니다. 전입신고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주민등록표열람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단, 전입신고 후 세대주확인이 안 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전입신고도 상황에 따라 헷갈릴 수도 있는 만큼 꼼꼼히 따져보고 모르겠다면 주민센터 직원에게 물어보고 확실히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게 좋습니다.
살아가는데 생각보다 많은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사를 거의 해보지 않는 절대다수에겐 어렵게 느껴지는 전입 신고였습니다.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을 바랍니다.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 전입신고"
정부 24 "전입신고" "FAQ"
댓글